
▲ 개수의 묘
직접 써본거나 빌려써본 것 혹은 근인들 것을 보고 확인해 본것들. 대개 출시시점 순으로 맞춰봤음.
- D2 : SDHC 대응. 32GB까지 무난히 지원. 풀사이즈 SDXC는 없어서 못 꽂아봤고, 어댑터를 써서 micro SDXC를 꽂아봤는데 인식이 안됨.
- V5 및 계열기(W, S, 3D) : SDHC 대응, SDXC 대응. 펌웨어 업그레이드는 요하는 것으로 보임. 일반의 어댑터를 활용해서 micro SDXC를 장착해도 잘 인식되며, PC 연결시에도 문제없이 데이터 이동이 가능함. WinCE 기반이라 그런 듯도 하고;;; 이루봉 포럼쪽에는 V5W 64GB에 128GB SDXC를 꽂은 양반도 있었음. 물론 실사용 인증.
- J3 : SDHC 대응. 역시 32GB까지 잘 지원함. micro SDXC의 경우 기기 자체에서의 인식에는 문제가 없고, 역시 사용시에도 원활. 단 기기에 꽂은 채로 PC에 인식시키려 하면 포맷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나오고, 동일한 방식(FAT32)으로 포맷을 진행한다 하더라도 32GB로만 인식함. 주의. 데이터 이동시에는 본체에서 빼서 리더를 활용해야 함.
- C2 : D2와 동일...한듯 하고, micro SDXC 인식가능 여부는 확인하지 못했음.
- D3, Z2, A5, Q7 : 기본적으로 안드로이드 기반기이고 버전이 진저브레드인 만큼 micro SDXC 인식 및 데이터이동 자체에는 전혀 문제가 없음.
- R7, X9 : J3과 동일함. SDHC는 메이커 가리지 않고 잘 인식되고, 기동시 데이터 확인속도도 빠른 편.
SDHC/micro SDHC의 경우 샌디스크, 트랜센드, 메모렛, 삼성 4개사 제품. micro SDXC는 샌디스크. 메이커를 가리거나 하진 않았고, 사용시에도 별다른 문제가 없었음. D2의 경우는 몇년째 쓰고 있으니 뭐;;; 파일 시스템 오류가 있는 구형기종이 더러 있기도 했으나 펌웨어로 수정된 듯 하고, 적어도 J3 이후의 기종들에서는 그런 문제도 보고되지 않는 듯. 마아 캐퍼시티를 늘리더라도 보유기종 중에서는 현재로서는 32+64가 한계인 셈이고... 이것도 이태위처럼 계모로써 하기에는 많은 수일 수는 있겠다만. 단 D2가 SD-SDHC를 모두 대응했던 반면, WinCE 기반인 V5계열기를 제외하고 J3 등의 기기들이 SDXC 규격을 전완하여 대응하지는 못하고 있는 점(데이터 이동은 기기에서 분리해서 해야 함)은 조금 의아하다. 기기 자체에서의 인식 및 사용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는 점이나, 일반 micro SDHC 규격 리더기에서 micro SDXC 활용에 역시 여하한 문제도 없음을 감안하면 자체 OS의 문제인 듯한데... 펌웨어로 쉬이 고쳐지기는 힘들 것 같고, 단지 차단계의 기종에서는 sd 대응을 계속 지원할 경우 SDXC 규격 이용도 원활했으면 한다.
정리하면 이하와 같이 됨 :
SDHC 자체인식/데이터이동 모두 가능 : 전 기종
SDXC 자체인식/데이터이동 모두 가능 : V5 계열기, D3, Z2, A5, Q7 등 안드로이드 탑재 기기
SDXC 자체인식만 가능 : J3, R7, X9
SDXC 지원여부 미확인 : C2
덧글
그럼 코원 r7은 SDXC는 인식이 되는데 기기 자체 에서는 데이터 이동이 불가하다는 거죠?
그럼 SDXC리더기로 64g SDXC카드에 데이터 넣고 코원 R7에 연결해서 사용 가능한가요??
64g SDXC 사려고 하는데 맞지 않을까봐 걱정되어서 이렇게 질문 드려봅니다 ㅠㅠ
코원 G7에 32g sd카드를 꼽으려고 하는데, 글을 읽어보니 sdhc니 sdxc니.. 그저 저장소 개념으로만 생각했었는데
생각했던 것 보다 생각해야할 부분이 많은 건지, 전문가 분들만 이런 건지 모르겠네요 ^^;
단순히 동영상을 많이 집어 넣어서 보려고 하려는 목적으로 sd카드를 사는 것인데 sdhc, sdxc, FAT, 제조사 따져가며 사야할까요?
그리고 온라인 가격이 1만원~10만원 사이인데 가격이 낮으면 하자가 있는 경우가 있을까요?
제가 잘 알지 못해서 이것 저것 여쭤봅니다 ㅠㅠ
- 용량이 32GB로 충분하시다면 micro sdxc를 굳이 사실 필요는 없고, micro sdhc로도 충분합니다. 전송속도 규격(UHC1)의 차이가 있긴 합니다만 가격차도 꽤 나는데다 64GB 이상의 용량을 활용하시지 않을 것 같다면 굳이 sdxc가 필요하진 않거든요.
- FAT, FAT32, exFAT, NTFS 등은 sd카드나 하드디스크 등 디스크 드라이브를 OS에서 저장장치로 활용하기 위한 '포맷 방식'입니다. 기본적으로 최근의 micro sdhc들은 FAT32로 포맷되어 나오기 때문에, sdxc가 아니라 sdhc를 구매하실 경우에는 포맷에는 크게 신경쓰실 필요 없으며, 포스팅 본문에 써 놓은 대로 G7에서의 호환 역시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즉 기기에 꽂은 채로 PC에 연결해 파일을 옮기는 것이 가능합니다.
- 요즘 micro sdhc 32GB는 비싸도 3만원 이내로 구할 수 있는 걸로 압니다. 트랜센드(Transcend), 샌디스크(Sandisk), 삼성 등의 메이커를 추천해드립니다.